본문 바로가기
야매 일상/IT정보

우분투를 즐겨보자 <3>

by 야매플머 2009. 5. 14.
반응형
오늘은 우분투를 설치해보기로 했습니다. 제일 좋고 손쉬운 방법은 윈도우를 설치 하듯이 한개의 컴퓨터를 선택해서 아예 리눅스 PC 구성을 하는 방법이지만 저는 여러 이유로 윈도우를 사용해야 하는 입장이라, 무료로 배포되고 있는 가상 머신인 버츄얼 박스를 이용해 우분투를 설치해 보기로 했습니다
여러 가상 머신들이 있지만 공개프로그램으로 배포되고 있는 버추얼 박스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저같이 가난한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소프트 웨어 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버추얼 박스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손쉽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버추얼박스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배포를 하고 있습니다. 소스코드등도 제공을 하는등 유연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윈도우즈 사용자기 때문에 윈도우즈 호스트 2.2.2 버전을 다운로드 받기로 했습니다.


자 이제 다운로드를 받고 설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응용프로그램 답게 설치 과정은 뻥을 좀 썩어서 ABCD만 알면 쉽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자~ 컴퓨터가 시키는 대로만 쭉~ 따라오면 어느새 버추얼 박스 설치가 완료 됩니다. 정말 쉽죠~잉~? ^^;; 프로그램 요즘은 컴퓨터가 너무 너무 쉽게 잘 만들어져서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저처럼 둔한 사람도 쉽게 설치하고 쉽게 실험을 해볼 수 있으니까요. 자 ~ 그럼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버추얼 박스의 첫 실행이 진행됩니다.

짜잔~ 자 드디어 버추얼 박스가 실행 됬습니다. 잉~ ? 이게 뭐냐구요?  ^^ 실망하지 마세요! 이제부터 시작이랍니다. 버추얼 박스는 쉽게 말하자면 컴퓨터 속에 또다른 컴퓨터를 설치하는 것이죠. 이제 버추얼 박스를 통해서 우분투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하드디스크에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줘야 한답니다.

버추얼 박스는 한글도 지원하기 때문에 매우 쉬운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답니다. 파랑색의 새로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가상머신 마법사가 구동됩니다. 이제 순서대로 따라가 볼까요?

오호~ 감사하게도 버추얼 박스를 통해서 우분투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가상머신의 이름을 선택하고 그곳에 설치할 운영체제와 해당 운영체제의 버전을 선택해 줍니다. 저는 우분투를 설치 할 예정이므로 리눅스와 리눅스 배포버전중 하나인 우분투를 선택했습니다.

중간에 하드디스크는 얼마를 할당할 것이며, 메모리는 얼마를 할당할 것인지 내용이 나옵니다만, 제가 그만 사진을 찍지 못했네요 ^^;;; 하지만 모두 한글로 나오기 때문에 아마 어렵지 않게 설정 하실 수 있으실 것같습니다. 자~ 가상머신 우분투가 완성 됬네요. 내용을 대략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기본메모리를 384메가 비디오메모리 12메가 하드디스크는 8기가를 할당했습니다. 이제 이 가상 머신에 우분투를 인스톨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 소개해드렸던 이응을 기억 하시나요? 이녀석이 신통방통하고 좋은 이유는 마치 데몬CD같은 역활도 해준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응이라는 녀석을 사용해 가상드라이브를 만들어서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클릭 한번이면 가상드라이브가 재부팅도 필요 없이 설치가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응이 데몬보다 편한 것 같습니다. 이제 우분투를 마운트하고 설치를 해보도록 하죠.

부팅순서가 기본적으로 CD우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가상으로 설치한 CD롬을 버추얼 머신에서 인식이 자동으로 안되신다면 위에 머신이라는 메뉴에서 CD롬을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 있습니다. 그것을 선택해서 진행 하시면 됩니다. 이제 우분투를 선택하고 시작을 눌러보죠!

네~ 오 신기하게도 컴퓨터안에 새로운 컴퓨터의 부팅화면이 뜨기 시작했습니다. 오 이렇게 보니까 이 버추얼머신은 썬마이크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것이였군요 ^^

얼핏 CD롬을 읽는 것 같더니 성공적으로 우분투 이미지로 부팅이 시작되었습니다. 제일처음 언어를 선택하는 사항이 나오는 군요. 저는 한국사람이기 때문에 한국어를 선택하기로 했습니다.

아~ 요즘은 정말 좋아 진것 같습니다. 우분투의 초기 설치화면도 한글로 나오는군요 ^^ 저는 설치를 할려고 하니 우분투 설치를 선택하고 설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네~ 잠시 로딩화면을 거치더니 윈도우 설치와 별반 다르지 않은 설정화면이 나오는 군요! 자 한국어로 다시 한번 선택해주고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 여기서 초기 설정하는 언어는 시시템의 최종 설정이 되니 한국사람인 우리는 한국을 선택해주시는 것이 좋겠죠 ^^


키보드 배치 설정입니다. 코리아, 리퍼블릭 오브 가있습니다. 초기 자동설정은 USA되어 있습니다.가급적이면 한글 자판을 사용하시는 분은 한글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실수 하시면 키보드 사용하실때 피곤한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디스크 공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나옵니다. 여러 설정방법이 있습니다만 저는가상으로 선택한 하드공간을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했습니다. 우분투가 자동으로 모두 진행해주는 아주 편한 모드죠 ^^

윈도우 설치와 역시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시스템 로그인시 필요한 이름과 비밀번호등을 선택해 줍니다.

아주 간략한 설정 시간이 지났습니다. 이제 자동으로 설치를 시작합니다.

헉! 설치를 시작한지 몇분도 안된 것 같은데 벌써설치 완료입니다. 윈도우다시 한번깔려면 몇시간씩 걸리는 것에 비하면 초고속이네요 ^^;

시스템이 재부팅이되고 우분투의 초기 구동화면입니다. 뭔가 저 로딩바를 보는순간 슈퍼카 키티가 생각났습니다 -_-;;

이전 버전에 비해 좀 어두운 느낌의 로그인 화면이군요 이제 로그인을 해서 잘 작동이 되는 지 확인을 해봅시다

네! 시스템이 무리 없이 잘 설치가 되었네요. 신기하게도 버추얼 머신에서 윈도우와의 통신을 연결해 주는 것인지 가상머신속 우분투도 인터넷이 열립니다 ^^ 처음 부터 우분투를 깔아서 사용해보기 어려우신 분들 부담되시는 분들은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사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