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야매플머10

프로젝트에서 dockerfile 관리 방법과 base image 선택 방법 안녕하세요. 이상한 프로그래머, 야매플머 입니다. docker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 동안 몇 편의 내용으로 기초 사용법을 익혀 익혔습니다. 실전에서 docker를 가지고 개발환경에 사용하는 건 사실 이전에 살펴본 기초 내용으로도 충분하긴 합니다. 대부분 상황에서는 그 기초 내용에서 응용해 활용하는 방식이거든요. 그래도 좀더 자유 자재로 docker를 활용 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실제 프로젝트를 만들어 가면서 조금 더 복잡한 내용을 하나씩 살펴 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프로젝트 안에서 dockerfile 들을 어떻게 관리 하는지, 제가 사용하는 사례를 들어 설명 드리고요. dockerfile 을 작성할 때 필요한 base image 를 어떻게 선택 하는지 영상을 통해 살펴 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 2023. 11. 21.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위한 prompt tip5 안녕하세요. 이상한 프로그래머, 야매플머 입니다. 지난번 stable-diffusion-webui 설치한 것이 생각 나서, 원하는 이미지를 뽑기 위한 간단한 prompt 작성 팁을 준비 해 봤습니다. 5가지 정보만 잘 숙지 알고 있다면, 원하는 이미지 뽑는거 어렵지 않아요~ 2023. 11. 16.
Docker mulit container와 docker compose 안녕하세요. 야매플머 입니다. 지난 내용에서 개발에서 자주 사용하는 Docker Volume 사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개발 환경에서 자주 사용하는 Multi-container와 격리된 container를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법, 그리고 이런 multi contaienr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인 docker compose에 대해서 내용을 준비 해 봤습니다. 2023. 11. 13.
Docker 데이터 유지를 위한 volume 사용법 [Part5,6] 안녕하세요. 이상한 프로그래머, 야매플머 입니다. docker 기본 사용법 튜토리얼, Part5, 6 데이터 유지를 위한 volume 마운트 사용 방법 입니다. 개발 환경 구축에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docker container는 격리 된 샌드 박스 프로세스로, 이 격리 단위에는 스크래치 데이터 공간, 흔히 이야기하는 하드 디스크 영역도 포함 됩니다. 즉, container에서 생성 되어, container에 저장 된 데이터는 container가 제거 되면 함께 삭제 된다는 이야기 이죠. 그런데 만약 이 container가 DB라면? 아니면 개발 도중에 빈번하게 데이터가 변경되고 수정 하면서, 그 데이터를 유지 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무척 곤란 하겠죠? 그래서 docker에서는 .. 2023.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