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매 개발실/Linux

CentOS 설치

by 야매플머 2011. 1. 8.
반응형

CentOS 설치

웹 프로그래밍을 이것저것 해야하는 상황이 생기다 보니까, 집에서 테스트 해볼 웹 서버가 필요해졌습니다.


이왕 해볼꺼 제대로 만들어서 놀아보자~ 라는 생각에 실제 서비스에도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 CentOS를 설치해서 놀아보기로 했습니다. 다운로드 받는 방법은 많이 소개 되어 있으니, 어렵지 않게 구하실 수 있을껍니다.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무료로 구하실 수 있고 사용에 제약도 없습니다. 그럼 한번 제가 설치한 과정을 보시죠. 저는 귀찮은걸 싫어하기 때문에, 대충 설치 했지만 정말 제대로 사용하려고 하신다면, 몇가지 신경써서 셋팅하시면 훌륭 할 꺼라 생각이 듭니다.
먼저 다운로드 받으신 OS의 이미지를 DVD나 매체로 작성하신 다음, 부팅을 하면 가장먼저 이런 화면이 보입니다. 설치를 위해 제공하는 옵션은 2가지로 텍스트모드와 그래픽 모드를 제공합니다. 저는 귀찮은걸 싫어하고 편한걸 아주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래픽모드로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 했습니다.

선택을 하고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요상한 질문을 합니다. CD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인데 굳이 체크를 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시간만 오래걸리고 저는 그냥 놀려고 설치한거니 별 의미없을 꺼라 생각되서 스킵하고 넘어갔습니다.

화면을 스킵하고 넘어가면, 그래픽카드를 체크하고 그래픽 모드로 설치 화면을 구성하기위한 단계가 진행 됩니다.

드디어 설치화면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마치 윈도우 설치화면 같군요. 오히려 윈도우보다 심플하니 설치 화면이 간결하고 편하게 생겼습니다. 역시 그래픽 모드가 편합니다. 설명 나온데로 선택하고 다음 ~ 다음 ~ 다음을 눌러주면 설치가 완료되게 됩니다.
어짜피 서버 용도로만 사용을 할려고 생각하고 있어서, 언어며 키보드며 모두 영어권으로 설치진행 했습니다. 실제로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도 없네요. 서버를 운영하면서 디렉토리며 뭐며 모두 영어로 만들어야하니 별 상관이 없더군요.
아마 설치하는 디스크 파티션 부분에서 여러가지 고민 하시는 경우가 있으 실 것 같습니다. 저는 귀찮고 놀려고 설치 하는 거기때문에 그냥 모든 하드디스크를 지우고 자동 파티션으로 설치를 했습니다만.. 실제로 특정 서비스를 해야한다면, 파티션에서 어느정도 신경 쓰셔야 할 부분이 있을 꺼라 생각되네요. 흠.. 홈서버 정도의 셋팅이라면, swap 파티션과 temp등 유동적이고 자주 변화가 생기는 영역을 파티션으로 나누어 관리해주는 것도 괸찮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유동이 많은 디스크 파티션의 경우 함께 쓰면 불안한 모습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고하니 충분한 조사를 하셔서 사용하시고자 하는 환경에 맞추어 설치하시길 추천합니다.

지역시간을 설정하시고 죽죽 넘어가시다 보면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선택하라고 합니다. 이것도 깔끔하게 정해 주십니다. root계정 비밀번호를 잃어버리면 나중에 좀 골치 아플 수도 있으니, 설정하시고 잘 기억 해두시기 바랍니다. 설정을 마치고 나면 설치 패키지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저는 온니 서버를 사용하려고 모든 옵션을 체크 해제하고 서버만 선택해서 설치했습니다. 필요하신부분은 기본 설치가 끝난다음에 추가 가능하며, 나중에 별도로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으셔서 설치하셔도 됩니다. 이렇게 원하는 패키지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실제 설치가 진행 됩니다.
넵, 드디어 설치가 진행 되는군요. 윈도우 설치보다 훨신더 간단하게 설치가 진행 됩니다. 속도도 빠르고 하여간 편하군요. 게다가 전 설치 패키지를 하나밖에 선택을 안해서 인지 정말 빨리 설치가 되었습니다. 저는 설치 패키지를 서버만 설치를 하다보니 화면은 항상 콘솔입니다. 그런데 서버컴퓨터를 켜놓고 항상 서버 컴을 직접 만지는 것도 좀 불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SSH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일단 SSH를 사용하려면 방화벽 설정부터 변경해 줘야 합니다. 인터넷 접속등에 그렇게 관대한 편이 아닙니다. 상당히 꼼꼼 하게 관리를 하고 있기때문에, 통신을 사용하려면 몇가지를 손대야 합니다. SELinux 설정을 꺼주시고, SSH통신을 하고자 하는 포트를 열어주시면 됩니다.
보통 포트 관리는 etc/sysconfig 의 iptables에 기록이 되어 있는데 이곳에 직접 포트를 추가 해주셔도 되고, setup관리자를 통해서 해주셔도 됩니다. 포트를 사용할 포트를 개방 하셨다면 SSH 설정에 들어가셔서 개방된 포트로 지정 해 주시면 됩니다. 보통 SSH는 기보으로 설치 되어 있고 설정파일은 etc/ssh/ssh_config 입니다. 이곳에 들어가 보면 port항목이 주석처리 되어 있을텐데 이녀석을 해제하고 사용하시고자 하는 포트를 지정해주시면 원격으로 접속하여 서버를 관리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대충 설치가 끝났군요~ 윈도우에서 원격으로 접속하실때는 아래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편하실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