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호스팅을 이용한 SVN 사용방법
오랜만에 포스팅을합니다.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만들거나, 상업적인 목적이 아닌 연구목적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될 경우에 이왕이면 SVN을 이용해서 버전관리를 한다던지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물론 가장 베스트인 방법은 개인 VPS를 이용한다거나 Home Server를 구축해서 직접 SVN을 운영하는 방법이 좋겠습니다만, 진정 순수하게 개인적인 프로그램 개발 트레이닝을 위해 서 VPS를 사용하거나 Home Server를 운영하기에는 비용이 부담 스럽습니다.
VPS의 경우도 제일 저렴한 것을 찾아보아도 좀 쓸만한 서비스를 받으려면 한달에 몇만원은 지출되어야 하고, Home Server의 경우에도 작정하고 저전력 PC를 이용하지 않는 이상 전기 사용료가 꽤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가정용 전기는 최근들어서 누진세가 적용되면서 꽤 아스트랄한 전기요금을 선사하기도 하죠.
그래서 조금은 공개 되어도 상관없는 개인 프로젝트라면 구글 호스팅에서 제공하는 SVN을 이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됩니다. 여기서 조금 공개해도 괸찮은 프로젝트라고 이야기 한 이유는, 커밋을 하기위해서는 사용자 등록이 필요하지만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라도 프로젝트를 읽는 것은 가능 한 것으로 알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정확하게 아시는 분들은.. 부가 내용좀 부탁드립니다 ^^;)
서비스를 해주는 주소는 http://code.google.com/hosting/ 입니다.
우선 해당 웹사이트로 진입해 보면 역시 구글 답게 매우 심플한 페이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Create a new project 항목을 이용하여 SVN을 생성해보도록 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서 진입하게 되면 프로젝트 이름과 설명등을 기록하고 버전 컨트롤 타입도 지정 할 수 있습니다. subversion만 지원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다양한 방식의 버전 컨트롤 툴을 지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곳의 내용을 기입해서 한번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생성이 되었습니다. 대략 이런 화면이 나오겠군요. 사용방법은 SVN일 경우 일반적인 사용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야매 개발실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env 설치 방법 (1) | 2023.10.03 |
---|---|
WSL 설치 위치 변경 하는 방법 (0) | 2023.09.29 |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MAC 하드웨어 가속 설치시.. (0) | 2015.02.08 |
WoW! So Cool! TexturePacker! 좋으다 좋으다! (0) | 2013.01.27 |
국내 무료SVN 네이버 개발자 센터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