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매 일상/IT정보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CPU

by 야매플머 2011. 11. 12.
반응형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CPU

  • ARM

    32-bit RISC 프로세서로, 저전력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CPU, 85년도 영국 캠브리지 아콘 컴퓨터에 의해서 탄생, 90년 애플과 VLSI의 조인트 벤처 형식으로 ARM이 생김.

    ARMv4 : 32비트 주소 영역에 32비트 ISA 동작이 가능 16비트 Thumb 명령어 셋을 탑제한 이 CPU32비트 코드의 이점을 그대로 살리고, 메모리 공간을 35%이상 절약 함

    ARMv5TE : 개선된 thumb 아키텍쳐와 ‘Enhanced’ DSP 명령어 셋을 추가. 인터워킹의 개선 컴파일 성능의 향상 ARM/Thumb 루틴의 혼합 사용가능 코드의 크기와 성능에 대한 균형 개선 하여 ‘Enhanced’ DSP 명령어들은 복잡한 수치연산에서 70%의 성능 개선을 보여 줌

    ARMv6 : 메모리 시스템 예외 처리 개선, 멀티 프로세싱 환경지원, SIMD 소프트웨어 실행지원 SIMD 명령은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사용확대를 위해 최적화 됨

    ARM1136J : 8코어 스트롱암 CPU, 최초의 modified-Harvard 아키텍처(명령어 캐시와 데이터 캐시를 분리 해서 사용) 채용, ARM의 쓰기 처리 능력의 고속화가 가능하게 됨, 64비티의 곱셈 및 일부 곱셈 기능을 제외한 모든 일반 명령어들의 싱글 사이클 처리등이 포함됨.

  • MIPS

    R쓰리즈 CPU, 실리콘 그래픽스 사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각종 임베디드 시스템과 윈도우 Ce장치, 시스코 시스템의 라우터에 사용되기도 했으며,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플레이스테이션2,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같은 콘솔 게임에 사용됨, 국내에서는 아이스테이션의 아이스테이션 T43에 사용 되기도 함, 현재 MIPS64비트 구현을 하였으며 5종류의 호환 MIPS 동잦 셋트가 존재 MIPS 1, MIPS 2, MIPS 3, MIPS4, MIPS 32/64로불리고 있음 최근 MIPS Mt라고 하는 인텔 펜티엄4의 하이퍼스레딩 같은 멀티 스레딩 기능이 추가됨. 현재 대학의 아키텍쳐 강좌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RISC 아키텍처에 큰 영향을 주었음

  • 콜드파이어/68K

    모토로라에서 분리된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에서 개발된 아키텍쳐,5세대의 CPU가 있으며콜드파이어 v1 코어는 현재 프리 라이선스 하에 사용할 수 있음

  • PowerPC

    애플컴퓨터, 모토로라, IBM 등이 제휴하여 발표한 RISC 방식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동작 기본의 몇가지 규정은 있으나 구현 방법에대한 규정은 없어, 다양한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이런 특징으로 실제 제조 모델은 고속화 를 위해 하키텍처 수준에서 규정되지 않은 부품등을 갖추고 있다. 오늘날 까지 남아있는 파워피시 계열의 유일한 성과물이며, 애플 컴퓨터의 파워맥 등에 사용되었다. 그 박에는 IBM의 워크스테이션 서버, 슈퍼컴퓨터등에 사용되었다. 기판 크기가 작고 소비전력이 낮다. 현재는 모토로라에서 분리된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와 IBM에서 개발하여 제조하고 있다.

  • X86

    인텔에서 개발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계열을 부르는 말이자 이들과 호환되는 프로세서들에 의한 명령어 집합 아키텍쳐를 통칭한다. 데스크톱 시장에서 매우 널리 쓰였으며,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CISC 설계를 채용했으며 하위 호환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 PIC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에서 90년도 부터 출시 되고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쓰리즈.

  • 8051

    인텔에서 개발된 8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 90년 초 까지 모뎀이나, 타자기,게임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다양한 기능의 호환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NMOS공정으로 제작되었으나 후에 CMOS로 변경하여 저전력의 베터리 전원기기에 적용시킬 수 있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