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분투를 설치하고 적응 하기를 몇일, 기존 윈도우에서 작업을 하던 내용들을 우분투 환경에서도 할 수 있을까 여기저기 발품을 찾아보면서, 알아보던 중,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은 별 다를 것이 없어서 쉽게 알아 낼 수 있었고, 과연 플렉스 개발이 가능 할까 하는 생각에 찾아보니 플렉스 개발 .. 환경 이라고 까지 하기는 좀 그렇고.. (마땅한 IDE를 찾지는 못했다.) 일단 코드를 작성하여 컴컴파일(?) 은 가능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것을 찾았다.
그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했는데...
1.우선 Adobe 사이트에 방문 SDK를 다운 로드받는다(http://www.adobe.com/cfusion/entitlement/index.cfm?e=flexsdk)
다운로드 받을때 아무 선택을 하지 않고 다운로드 받으면 zip 파일의 SDK가 다운로드 된다.
2.다운로드 받은 SDK를 자신이 편한 적절한 디렉토리에 압축 해제 한다.
3.이제 자신의 basrc 파일에 적절하게, 실행 내용을 붙여 준다.
basrc 파일을 편집하여 내용을 넣어주게 되는데, 플렉스 컴파일을 해주는 녀석이 자바를 통해서 하는 듯하다. 실제로 SDK 파일
내용을 봤더니 실행 해야 하는 파일이 jar .. 몰랐던 사실이다.. 윈도우에서는 IDE 설치하면 자동으로 해주니.. 실행 되는 모양을
봐서 대략 관련 있겠다 싶었는데.. 깊은 관련이 있었다.. 여튼.. 우선 이런 식으로 연결 해주면 된다.
export FLEX_SDK_HOME=~자신의 플렉스 경로
alias mxmlc='자신의 자바 sdk경로/java -jar "$FLEX_SDK_HOME/lib/mxmlc.jar" +flexlib="$FLEX_SDK_HOME/frameworks" "$@"'
이런식으로 작성해주고 저장 로그인을 터미널을 다시열던 source 로 다시 배쉬를 읽어주던 적용을 시킨후 작성된 flex 소스
파일 *.mxml 파일을 mxmlc 내샘플.mxml 이런식으로 해주면 컴파일 이 되면서 swf가 생성된다.
대략 컴파일이 가능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vim으로 작성해서 프로그램을 만들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 뭔가 우분투에서도 IDE를 제공 할 것같은데... 찾아봐도 찾아봐도 찾기가 힘들다.. 수많은 오픈소스 개발 IDE가 있을텐데... Flex 를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없는건가?
반응형
'야매 개발실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간 기묘한 언어 JavaScript... (0) | 2012.02.28 |
---|---|
JavaScript 찔끔 찔금 정리..(1) (0) | 2012.02.28 |
CSS 다양한 브라우저에 대응하기(2) (0) | 2012.02.21 |
CSS 다양한 브라우저에 대응하기(1) (0) | 2012.02.20 |
CSS사용 방식의 특징들.. (0) | 201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