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매 개발실70 Amazon EC2를 이용한 Git 서버 사용 Amazon EC2를 이용한 Git 서버 사용 작년 말 부터 뭔가 무기력감+귀찮음+바쁨 등등이 겹쳐서 뭔가 개인적인 취미 생활 및 생산적인 활동을 전혀 못했다는 생각이 철야 근무를 하던 중, 문뜩 생각이 나더군요. 그래서 예전에 사용하던 웹사이트 링크 각종 디렉토리 등을 정리 하다보니 잊었던 아마존 EC2 서비스링크와 계정, 로그인을 해보니 아직 카드는 걸려있고, (다행이 인스턴스가 켜져 있지는 않아서 ^^;) 처음 아마존 AWS를 접했을때에 비해서 한글화가 많이 되어 하나 하나 살펴보다가 Git hub사용하려던걸 그냥 아마존 호스팅을 받아서 개인 서버겸 쓸까 하는 생각이 들어 다시 삽질을 시작 했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가상화 서버에 대한 클라우드 호스팅도 세대가 변했는지, 서비스 명칭은 변하지 변하지 .. 2015. 1. 27. [Linux] ANT 를 이용한 Android 프로젝트 빌드 - 환경 : Ubuntu 10.04 LTS / openjdk-6 / ant-1.8 - ant 기본 빌드 : * 생성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내 build.xml을 수정하지 않는다. * 만약 build.xml 존재하지 않을 경우 sdk/tools/android 툴을 이용하여 build.xml 생성 * android update project -p project patch * 빌드 하고자 하는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루트에서 ant debug ( release ) * release 빌드를 하고자 할 경우 인증용 key가 필요함. * keytool -genkey -v -keystore [keystore name].keystore -alias [alias name] -keyalg RSA -keysize 2048 -v.. 2014. 2. 19. [Linux] 내 Vim 환경설정. Emacs를 사용해보려고 했으나.. 영 익숙하지 않은 조합입력 때문에.. 그냥 vim을 계속 사용합니다. Vim을 사용할때 다양한 환경 설정 셋팅으로 좀더 보기 좋게 설정 할 수 있는데요. 아주 디폴트한 설정만 기억을 위해서 기록 해 두어 봅니다. 기본적으로 Vim의 설정은 .vimrc 파일에서 읽어 오게 되는데요. 리눅스 환경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홈 루트 디렉토리에 .vimrc 파일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옵션들을 올려 봅니다. 1 syntax on 2 filetype on 3 filetype indent on 4 filetype plugin on 5 6 set sm 7 set nu 8 set ruler 9 set history=1000 10 set iminsert=.. 2013. 11. 7. [Linux] 리눅스 개발 환경 정보 - 리눅스 개발 정보. * 에디터 Vim || Emacs ( X-Window 환경에서는 다양한 IDE가 있으므로 입맛 따라 선택하면 됨) 기본적으로 야매플머의 경우 리눅스 개발 상태를 ssh터미널 상태에서 하므로 콘솔 환경에서 기본 설치가 되어 있는 종류인 Vi || Vim 을 이용했음. ( 사실 Emacs잘 쓸줄 모름.. -_- ) * 언어 셋팅 이건 언어마다 워낙 천차 만별이라 별도의 셋팅을 이야기 하기에는 좀 애매함... 기본으로 C || C++ || Java 등을 많이 사용하니 해당 부분위주로 언급...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Python이나 Shell 등도 종종 .. * OS환경 Ubuntu 12.04 LTS Server 이전에는 CentOS 5.3 환경으로 회사에서도 주로 CentOS를 이용해서 .. 2013. 10. 28.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