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매 개발실

Amazon EC2를 이용한 Git 서버 사용

by 야매플머 2015. 1. 27.
반응형

Amazon EC2를 이용한 Git 서버 사용 

PastedGraphic-2015-01-27-20-50.png 

작년 말 부터 뭔가 무기력감+귀찮음+바쁨 등등이 겹쳐서 뭔가 개인적인 취미 생활 및 생산적인 활동을 전혀 못했다는 생각이 철야 근무를 하던 중, 문뜩 생각이 나더군요. 그래서 예전에 사용하던 웹사이트 링크 각종 디렉토리 등을 정리 하다보니 잊었던 아마존 EC2 서비스링크와 계정, 로그인을 해보니 아직 카드는 걸려있고, (다행이 인스턴스가 켜져 있지는 않아서 ^^;) 처음 아마존 AWS를 접했을때에 비해서 한글화가 많이 되어 하나 하나 살펴보다가 Git hub사용하려던걸 그냥 아마존 호스팅을 받아서 개인 서버겸 쓸까 하는 생각이 들어 다시 삽질을 시작 했습니다. 시간이 흘러서 가상화 서버에 대한 클라우드 호스팅도 세대가 변했는지, 서비스 명칭은 변하지 변하지 않은 것 같지만 사양은 좀 변한 것 같더군요. 워낙 요즘 VPS서비스가 많아져서 가격대 경쟁력을 좀 살펴 봤는데 개인적인 개발 서버로 사용할만한 사양에서는 다들 가격이 비슷 한것 같더군요. 특히 VPS 는 해외 호스팅사가 좋고 저렴한 서비스를 많이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 발견한 곳 중에도 1달 1만원 (10달러) 정도의 가격으로 26기가 스토리지 1기가 메모리 정도의 리눅스 서버를 서비스 하는 곳을 찾았는데 글로벌 서비스라 도쿄에도 데이터 센터가 존재해 국내에서 사용하기에 괸찮은거 같았습니다. 하지만 뭐.. 개인 적으로 사용할때 매일 서버를 켜놓는 것도 아니고 일정기간 켜놓고 사용하다가, 꺼놓다가 하는 형태로 쓴다면 아마존의 종량제 과금이 더 경제적일 꺼라는 생각이 들어서 다시 아마존을 선택 했는데요. 처음 사용해볼때 보다 웹에서 제공하는 매니져 툴이 더욱 훌륭해져서 훨씬 쉽게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PastedGraphic1-2015-01-27-20-50.png 
(어마 무지하게 많은 종류의 서비스와 컨트롤 패널들)

 서버를 이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춰서 세분화 된 서비스가 많고 적당하게 인스턴스를 생성했다가 스톱시키면 과금이 안되니.. 정신만 바로 챙기고 있다면 요금 폭탄 없이 다양한 서버 경험을 해보기 좋은 거 같습니다. 특히 저는요즘 윈도우 서버를 만져야 하는데 경험이 별로 없다보니 이리저리 궁금한게 많은데 윈도우 서버 인스턴스도 제공하고 있으니 여러모로 좋다는 생각. 아마존 AWS에 처음 가입하시게 되면 1년동안 프리티어 등급으로 분류 된 인스턴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니 그점도 참 좋죠(전… 이미 프리티어를 사용할 수 없지만요) 저는 일본 도쿄에 있는 데이터 센터를 선택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했습니다. 핑도 좋고 쓸만하죠. OS선택은 우분투 14.04LTS버전 셋팅하기가 일단 편하니 좋습니다. 셋팅과정의 포스팅을 할까 말까 .. 고민이 좀 됩니다. 워낙 요즘은 정보도 많고 고수 분들이 포스팅해 놓은 자료도 많고 아마존 메뉴얼도 잘 되어 있어서… 그닥 기록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될지 안될지는 모르겠지만.. 복붙용 으로 기록해 둬볼까 합니다. 라고 제가 셋팅을 어떻게 했는지는 다음에 써야 할 듯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