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소셜네트워크 게임이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습니다. 소셜쪽 프로그래밍 꼭 해보고 싶다고 많이 생각했었는데, 막상 접하고 나니 오만가지 생각도 나는군요 ^^ ; 뭔가 굉장히 복잡하고 여렵구나 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가만 생각해보면 그도 그럴수 밖에 없는 것이, 사업적인 부분이던, 기술적인 부분이던 고속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니 사실 복잡하다고 하소연 해도 소용없죠. 아니~ 오히려 좋은 일이라고 해야 하는 건가요?? ^^
하여간 google에서 이 소셜한 것들을 개발하는데 좀더 편하고 유연하게 하라고 또 뭔가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게 바로 opensocial 입니다. 웹속의 웹이라고 해야하나요?? 뭔가 한 11년전 홈페이지 공부를 할때와는 전혀 다른 세상에 와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고등학교 시절 홈페이지라고 하면 별게 없었는데 뭐가 이렇게 많고 많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xml마크업 언어를 사용하고 각종 공개 api를 이용해서 사용자들 정보를 억세스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하나의 프레임 워크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용하는 방법만 익힌다면 확실히 수월하게 ?? 그리고 빠르게 만들 수 있고, 더욱이 요즘 소셜 웹 서비스 등에서 서비스하는 각종 웹에서 최소한의 코드 수정으로 여러곳에 포팅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용하여 코드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는 것 으로 알고 있는데요. 옜날에는 프로그래밍이다. 또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하면, C나 C++을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을 생각했는데, 요즘은 그런것 만도 아닌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 웹은 이제 사람들에게 뗄레야 뗄수 없는..
아마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환경이 인터넷, 그리고 브라우저인것 같은데요. 그런 브라우져 기반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들 요즘에는 말 그대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메인이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opensocia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환경이 필요 하겠죠. 물론 구글 코드에서 opensocial을 바로 테스트 해볼수 있는 것을 제공 해주기도 합니다.
http://code.google.com/intl/ko-KR/apis/gadgets/docs/tools.html#GGE
아예 웹상에서 가젯 에디터를 호스팅 해주는데요. 특정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귀찮다면 웹에서 호스팅해주는 가젯 호스팅일 이용해서 코딩하고 결과물을 저장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가젯 호스팅을 이용하여 저장하려면 구글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그 이외의 방법으로는 이클립스 플러그인도 있습니다. OSDE라고 하는 것인데요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 방법을 이용해서
http://rlabs.wordpress.com/2009/03/30/setting-up-osde-on-windows-with-eclipse-342-and-java-16/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짧은 기간동안 여기저기 소셜 플랫폼에 대해서 알아보고 경험해보고 있는데요. 딱봐도 이제 소셜개발 쪽은 2가지 계열로 나누어 지는 것 같습니다. 구글의 오픈 api를 이용하느냐 안하느냐 뭐 그정도 차이가 아닌가 싶은데요.
한번 작업해 놓으면 여러군데 쉽게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굳이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것을 사용 안할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요즘 포털 사이트들에서 너도나도 소셜 앱 마켓을 오픈하고 있습니다. 한창 상승세 타고 있네요. 우리나라에서도 소셜분야에 대박한번 기원합니다.
가만 생각해보면 그도 그럴수 밖에 없는 것이, 사업적인 부분이던, 기술적인 부분이던 고속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니 사실 복잡하다고 하소연 해도 소용없죠. 아니~ 오히려 좋은 일이라고 해야 하는 건가요?? ^^
하여간 google에서 이 소셜한 것들을 개발하는데 좀더 편하고 유연하게 하라고 또 뭔가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게 바로 opensocial 입니다. 웹속의 웹이라고 해야하나요?? 뭔가 한 11년전 홈페이지 공부를 할때와는 전혀 다른 세상에 와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고등학교 시절 홈페이지라고 하면 별게 없었는데 뭐가 이렇게 많고 많은 건지 모르겠습니다.
xml마크업 언어를 사용하고 각종 공개 api를 이용해서 사용자들 정보를 억세스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하나의 프레임 워크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용하는 방법만 익힌다면 확실히 수월하게 ?? 그리고 빠르게 만들 수 있고, 더욱이 요즘 소셜 웹 서비스 등에서 서비스하는 각종 웹에서 최소한의 코드 수정으로 여러곳에 포팅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이용하여 코드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는 것 으로 알고 있는데요. 옜날에는 프로그래밍이다. 또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하면, C나 C++을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을 생각했는데, 요즘은 그런것 만도 아닌것 같습니다. 그리고 실제 웹은 이제 사람들에게 뗄레야 뗄수 없는..
아마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환경이 인터넷, 그리고 브라우저인것 같은데요. 그런 브라우져 기반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들 요즘에는 말 그대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메인이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opensocia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환경이 필요 하겠죠. 물론 구글 코드에서 opensocial을 바로 테스트 해볼수 있는 것을 제공 해주기도 합니다.
http://code.google.com/intl/ko-KR/apis/gadgets/docs/tools.html#GGE
아예 웹상에서 가젯 에디터를 호스팅 해주는데요. 특정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귀찮다면 웹에서 호스팅해주는 가젯 호스팅일 이용해서 코딩하고 결과물을 저장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가젯 호스팅을 이용하여 저장하려면 구글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그 이외의 방법으로는 이클립스 플러그인도 있습니다. OSDE라고 하는 것인데요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 방법을 이용해서
http://rlabs.wordpress.com/2009/03/30/setting-up-osde-on-windows-with-eclipse-342-and-java-16/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짧은 기간동안 여기저기 소셜 플랫폼에 대해서 알아보고 경험해보고 있는데요. 딱봐도 이제 소셜개발 쪽은 2가지 계열로 나누어 지는 것 같습니다. 구글의 오픈 api를 이용하느냐 안하느냐 뭐 그정도 차이가 아닌가 싶은데요.
한번 작업해 놓으면 여러군데 쉽게 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굳이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것을 사용 안할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요즘 포털 사이트들에서 너도나도 소셜 앱 마켓을 오픈하고 있습니다. 한창 상승세 타고 있네요. 우리나라에서도 소셜분야에 대박한번 기원합니다.
반응형
'야매 개발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zzon EC2 인스턴스 생성 및 기타 셋팅 (0) | 2015.02.04 |
---|---|
Amazon EC2를 이용한 Git 서버 사용 (0) | 2015.01.27 |
Visual Studio 2010 Express 다운로드 (0) | 2010.06.16 |
간단한 편집을 위한 에디터 vim의 사용법 (0) | 2010.05.28 |
간편하지만 강력한 에디터 VIM 빔, 윈도우에서도 써보자. (0) | 200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