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매 개발실

Amzzon EC2 인스턴스 생성 및 기타 셋팅

by 야매플머 2015. 2. 4.
반응형

인스턴스 생성을 위해서는 잘 만들어져 있는 매니지먼트 콘솔로 들어가 진행하면 됩니다.     

%25255BUNSET%25255D.png

기본적으로 서버를 띄우기 위해서는 저 3가지 메뉴 항목만 잘 기억하면 됩니다. 아 우측상단에 지역을 확인 하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국내에서 사용하려는데 저 멀리 미쿡이나 유럽에 만들면 아무래도 느리겠죠 아마존에서 서버개념은 인스턴스, 인스턴스 항목에 들어가면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과, 현재 러닝 되고 있는 인스턴스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생성과정은 안내에 따라 순서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인스턴스 생성 과정중에 잘 관리 해야 할 부분이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SSH 터미널 접속을 위한 공개키 발급이 되는데, 아무래도 분실하고 나면 재 발급이 안되는건지 재 발급 부분을 못찾겠더군요.. (아마도 재발급 받을 수는 있을 겁니다. 귀찮아서 안찾아봐서.. 그래도 잃어버리면 골치 아프니 잘 관리 해 주세요) 터미널 접속시 유저 아이디 패스워드 접속이 아닌 해당 공개키를 매개로 접속합니다. ssh -i key.pem xxxx@xxxx 이런 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보안 포트는 셋팅을 하다보면 자주 만지게 되는데, 서버 셋팅을 해보신분들은 대부분 OS에서 방화벽 테이블을 만져 주어 접속 통로등을 열어주거나 하는데 아마존은 여기서 설정해줍니다. 보안 그룹은 말그대로 그룹별로 개방 포트를 설정하고 인스턴스에 적용 해제 할 수 있어 관리가 편합니다. 뭐 기록할게 별로 없네요.. -_-; 워낙 만들기 쉬워서… 별도로 기록할게 없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git 셋팅 한거 간단하게 기록해 보도록 하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