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또는 mac 도커 구동 환경은 도커를 위한 VM 위에서 도커가 작동 됨.
기본 설치되는 OS별 도커 설치 파일로 설치 하면 바로 docker를 사용 할 수 있는 환경으로 셋팅 되지만,
이상하게 각종 개발 도구와 연동 시키려고 하면 연동이 안되는데, 살펴보니 개발 툴 등에서 도커에 접근 하기
위하여 TLS (터미널) 을 이용하여 도커가 구동중인 로컬 VM으로 접근 하는 것으로 확인.
그러나 여기저기 좀 찾아 보았는데 기본 작성되어 있는 도커 VM 에서 해당 터미널을 개방 하는 방법을 찾지 못했는데,
그냥 깔끔하게 도커용 VM을 직접 용도에 맞게 셋팅하면 쉽게 연동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셋팅 및 개발 환경 초기 실행시 몇 가지 명령어 실행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은 시간 날때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한다.
-- 새로운 도커 VM 만들기
1. 도커에서 제공하는 docker-machine 을 이용한다.
vm을 작동시킬 도구는 자신의 환경 또는 취향에 따라 선태가 하면 될 것으로 보임
docker-machine create --driver (hyperv or virtualbox) --hyperv-virtual-switch "Primary Virtual Switch" --hyperv-memory "2048" --hyperv-cpu-count "2" (default)
마지막 에는 생성될 자신의 VM 머신 이름을 넣게 되면 되겠다. 그러면 알아서 접속 key 까지 모두 셋팅해준다.
2. 문제는 새로운 머신을 생성하고 나니 도커가 새로운 머신으로 연결을 하지 못한다.
도커에 사전 설정되어 있는 env 셋팅문제로 보이는데, 이게 웃기는게 새로운 터미널을 열거나 뭐시기 하면
매번 매핑 해주는 작업을 해야 하는것으로 보인다. 골깐다... 이것도 시간날때 좀 디벼 봐야 겠다
docker-machine env --shell powershell (default) | Invoke-Expression
커맨드 실행 하면 (저 위 쉘은 자신이 사용하는 쉘에 따라 넣으면 될 것으로 보인다.) 도커가 연결 되어 docker 명령을
실행 가능하다.
3. 도커 머신에 호스트 디렉토리 공유 하기
hyper-v 는 가상머신 정책상 공유 디렉토리 개념이 없다고 하는데.. 삽질하다 귀찮기도 하고 못쳈겠다 꾀꼬리라 패스!
virtualbox 에서는 도커 머신 생성 후 종료 하고
VBoxManage sharedfolder add xxxx --name "/directory" --hostpath "\\?\x:\xxxx" --automount 형식으로 디렉토리 추가 후
실행하면 쉽게 됨
'야매 개발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 앱 을 만들자 Begins (0) | 2015.11.07 |
---|---|
Amzzon EC2 인스턴스 생성 및 기타 셋팅 (0) | 2015.02.04 |
Amazon EC2를 이용한 Git 서버 사용 (0) | 2015.01.27 |
opensocial?? 나만 몰랐네?? (0) | 2010.12.07 |
Visual Studio 2010 Express 다운로드 (0) | 2010.06.16 |